Jang Pa’s Solo Exhibition (Gallery Zandari) Review.
The first thing that catches the eye is the color that fills gallery. The scarlet red is immediately imprinted upon the viewer. The texture of the canvas, in combination with the flagrant and flamboyant color, arouses a bizarre yet sensual pleasure. The viewer will make an instinctive attempt to understand the form around the color but will soon fail, for it is ‘yet’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where the artist is repetitively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the image.
Jang Pa’s solo exhibition, <Lady-X>, is extended from the concepts of her earlier work, <A Secret Room of Plants> series from her solo exhibit in 2009. These two series are connected not only in their similarity of structure of both being based on fictional scenarios, but also by the fact that a plant(in this exhibition, ‘forest’) or an abstract organism in a particular setting appears for both work. The narrative of this exhibition begins as “Lady-X, a girl with a fetish for trees known as dendrophillia, explores her sexual fantasies”(from the artist’s note). The exhibition is at large composed of two narratives, <Phantoms under Daylight> and <Lady-X>. In that the views of the fictional protagonist, ‘Lady-X’, changes according to the narrative constructed by the artis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exhibition as the protagonist’s coming of age story and even as a story of growth of the artist’s artistic contemplation.
Even without referencing the artist’s note, “can a female act as the main agent of sexual desire instead of its object”, images of female genitalia and breasts in the canvas reveal her interest in sexuality. In particular, the color pink/scarlet, which penetrates through all her work, simultaneously symbolizes the image of a girl and sexual pleasure, and operates as a universal metaphor for the female desire. At the same time, the ‘familiar’ reference of icons such as skeletons and sexual symbols draws the viewer directly into the work. In that even the flow of the exhibition i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artist’s own scenario, the possibility that the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of the work may be predetermined cannot be ruled out. Nevertheless, ‘storytelling’ seems pivotal for the artist in her work. For the artist who, from her first solo exhibition, tried combining different mediums such as structuring painting and installation into a single piece (The Obligations of a Witness, 2008) in the search for ways of expression, illustrating imaginary worlds as ‘narrative paintings’ seems to be her unique method of conceptualizing the work as well as a contemplation on the existence of the painting.
For the <Phantoms under Daylight> series at the entry of the exhibition, the artist sets the space as a ‘forest’. This is related to the artist’s childhood experience where she used to build a mental hideout through “a game of making a place of my own”. The ‘Space of fantasy’, symbolized by the ‘forest’, is where the artist expresses her desires for a physical and emotional ‘place’, which is absent in reality. The space is Combined with the suppressed and unstated desires of the artist, the space functions as a ‘space for emancipation’ where ‘hidden’ desires can vigorously be expressed. Various subjects appear in this space and have intercourse with ‘Lady-X’, subjects which are pointless to place in a standard category of sexuality such as animals, plants, hybrids of body and spirit; disparate others that exist on the verge of human realm. Physical conjoining of the bodies which are reminiscent of various sexual postures, are captured by the artist as fragmented scenes in a large body of work of drawings and small canvases. Moreover, the materiality of the flexible body and its actions premise not only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but also an exploration of her own body.
Especially, the ‘tree’ conveys a symbolic meaning as the object of the protagonist’s fetish. The use of ‘‘Fetishism’ 1‘, which is mainly a form of male pervasion, can be interpreted as being a double strategy of the female expressing her repression in a feminist perspective, while at the same time exploiting her female pleasure. For the protagonist, the ‘tree’ is a substitute for a sexual subject that has been lost, and in thus breaking the rule of sex, deviates from the patriarchal order and disturbs the phallocentric sexual hierarchy. Furthermore, in trying various ‘play’ of the body at the periphery of taboo by society, the protagonist destroys the dichotomy of human/animal, fantasy/reality, and normal/abnormal, even hinting at a ‘metamorphosis’ of her own. <Unbecoming>(2015), which mediates the inner narrative of exhibition and connects the divided gallery spaces, implies through the image of a ‘chrysalis’ adhered to a tree that the work is a crossing point to the <Lady-X> series.
As where <Phantoms under daylight> expressed the desire and anguish of the protagonist herself, the artist’s interest expands to the ‘outside’ in the recent <Lady-X> series. The title of the artwork that connotes ‘less’, such as <Faceless Structure>(2015) and <Eyes Without a Face >(2015), indicate at the deficient situation Itself. What is it that is absent? Here, the artist focuses on the ‘face’. The artist visualizes the ‘face’ through the ascetic process of repeatedly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the (unknown) figure. The subjects which previously coexisted in <Phantoms under Daylight> disappear, and it becomes even more difficult to recognize the face as multiple layers interfere and overlap. As if in reflection to the complex feeling of the artist, the deformed face on the screen resembles the form of a ‘monster’. And at the moment when the face in the painting and the face of the viewer confront one another, the borderless layers of the painting are echoed upon the viewer’s face. What meaning do the two faces have on the artist?
In the context of feminism, ‘sexual identity’ not only deals with the sexual pleasure and desire, but also challenges its hierarchal structure by revealing the variance in sexual repression. The fact that the image and even the identity of the female body is seized by capital nowadays to the point that females themselves exploits and materializes their own body, makes the female body even more controversial. Therefore, one should not only be limited to “revealing the pleasure of women”, but should reach out to issues of the various ‘social others’ who are excluded from the power structure of society. Hence it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the artist in order to head ‘outside’, to first be focused on the sexuality of her other-self, ‘Lady-X’. In short,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rough her ‘facing’ of the others that Lady-X, who was obsessed by her internal scar and the agony, has expanded her interest to the outside.
So what is the ‘face’ in this context? The face is the surface that comes to contact with the world. The face is a manifestation to the outside, and is two-sided in that it “gazes while being gazed at”. Though at first presented as an object to be gazed on, the face of ‘Lady-X’, as it arouses sympathy of the viewer, can become a ‘mirror’ that reflects the viewer. In other words, by having Lady-X reflect the gaze of the viewers like a ‘mirror’, the viewers are confronted with their own face in the mirror – overlapped with ‘Lady-X’. The power in the face of the others is based in their vulnerability and nonresistance. The face is vulnerable and is unable to resist external force, thus moral appeal is roused from the face 2
.
The ‘confrontation with the other’ also brings unexpected moments to ‘Lady-X’ who was caught up in her own agony and desire. The artist who concentrated in investigating her own wound within her personal context has finally faced the face of the other. The artist, who in precious works had distanced herself from the subject as an observer and a witness, is exhibiting in this exhibition the will to meet with the others and even intervene in the outside world. Of course, it is still hasty to assume that the artist’s hope of expanding the nature of Eros to ethics for others will actually come to be realized. Nevertheless, the multiple faces that the artist has constructed hints at the ‘moment’ when it may make its appearance on the face of the viewer.
Written by Eunbi Jo(Independent Curator), 2015
관능이 마주한 얼굴, 그 (불)가능한 만남을 위한 여정
장파 개인전 <레이디 엑스 Lady-X>(갤러리 잔다리) 전시 리뷰.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전시장을 가득 채운 색감이다. 관객에게 선홍빛은 즉각적으로 각인된다. 화면의 질감과 노골적이면서도 화려한 색의 조합은 기괴하면서도 감각적인 쾌감을 일으킨다. 관객은 본능적으로 색을 둘러싼 형(型)을 인식하려하겠지만, 그것은 이내 실패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아직’ 작가가 이미지를 쌓고, 해체하기를 반복하는 과정 중에 있기 때문이다.
장파의 개인전 <레이디 엑스 Lady-X>은 2009년 개인전에서 선보였던 초기작 <식물들의 밀실> 시리즈와 개념적인 연장선에 있다. 이 두 시리즈는 가상적인 시나리오에 기반한 구조의 유사성 외에도 특정 공간을 배경으로 식물(이 전시에서는 ‘숲’)이나 추상적인 유기체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연결된다. 이번 전시의 서사는, “덴드로필리아(dendrophillia)라는 나무를 사랑하는 페티시를 가진 레이디 엑스(Lady-X)라는 소녀가 자신의 성적 판타지를 펼쳐나가”(작가 노트 중)면서 시작한다. 전시는 크게 <낮의 유령들>과 <레이디 엑스>라는 두 개의 서사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이자, 가상 인물인 ‘레이디 엑스’의 시선이 작가가 구축한 서사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에서 주인공의 성장기이자, 나아가 작가적 사유의 성장기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여기서, “여성이 욕망의 대상이 아닌 그것의 주체일 수 없는가” 라는 작가의 질문을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화면 속 여성의 성기, 가슴의 이미지는 섹슈얼리티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드러낸다. 특히, 작품 전체를 관통하여 나타나는 분홍/선홍색은 소녀적인 이미지와 관능적인 쾌락을 동시에 상징하며, 여성의 욕망에 대한 보편적인 은유로 작동한다.
동시에, 화면에 등장하는 해골, 성적 상징과 같은 도상들이 지닌 ‘익숙한’ 레퍼런스는, 작품을 바라보는 데 있어 다소 직접적으로 다가온다. 전시의 흐름 역시 작가의 시나리오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나 해석이 선점될 가능성 역시 배제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작가에게 ‘스토리텔링’은 작업에 있어 중요한 축으로 보인다. 첫 개인전에서부터 회화와 오브제 설치를 하나의 작업(목격자의 의무, 2008년 작)으로 구축하는 등 다른 매체와의 결합을 시도하면서 표현 방식을 고민해왔던 작가에게, 상상적 세계를 일종의 ‘서사적 회화’로 구현하는 것은 작업의 개념화를 위한 특유의 방식이면서 동시에 회화의 존재 방식에 대한 고민이기도 할 것이다.
작가는 전시장 초입에 있는 <낮의 유령들> 시리즈 속에 ‘숲’이라는 공간적 배경을 설정해둔다. 이는 “나만의 공간을 만드는 놀이”를 통해 심리적인 도피처를 만들었던 작가의 유년 시절의 경험과도 관련이 있다. ‘숲’으로 표상되는 ‘환상적 공간’은 현실에는 부재한 자신의 물리적, 정서적인 ‘자리’에 대한 욕망이 표현되는 곳이다. 이곳은 그동안 억압되어 표현하지 못했던 작가의 개인적인 맥락과 만나, ‘숨겨진’ 욕망을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해방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 공간에는 ‘레이디 엑스’와 관계 맺는 다양한 대상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규범화된 성적 범주의 경계가 무의미한 상태로 동물과 식물, 육체와 영혼의 혼종 등 인간의 안팎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타자들이다. 다양한 체위를 연상시키는 이들의 신체적인 결속을 작가는 다량의 드로잉과 소형 캔버스 위에 파편화된 장면으로 담아낸다. 뿐만 아니라, 유동적인 몸의 물질성과 행위는 타자와의 관계만을 전제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몸에 대한 탐구로도 나타난다.
특히, 주인공이 페티시를 느끼는 대상으로서 ‘나무’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남성 도착의 한 형태라 명명된 ‘페티시즘’ 3은 페미니즘적 시선에서 여성이 자신의 억압을 표현하는 방식이자, 쾌락을 활용하는 방식이라는 이중적인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 주인공에게 ‘나무’는 잃어버린 것으로 드러난 성애적 대상을 위한 하나의 대체물로, 성의 질서를 깨뜨린다는 차원에서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일탈이자, 남근 중심적인 성적 위계를 교란시킨다. 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양한 ‘플레이’를 시도하는 주인공은 사회적 금기의 주변에서 인간/동물, 환상/실제, 정상/비정상 등의 이분법을 파기하면서, 자신을 스스로 ‘변태(變態)’ 하려는 의지까지 내비친다. 전시 내부의 서사를 매개하면서 분리된 전시 공간을 연결하는 작품 <Unbecoming>(2015)은, 나무 위에 눌러붙은 ‘번데기’의 형상을 통해 <레이디 엑스> 시리즈로 이어지는 교차점임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
<낮의 유령들>이 환상적 공간 속에서 주인공 자신의 욕망과 분열을 표현했다면, 근작인 <레이디 엑스> 시리즈에 이르러 작가의 관심은 ‘외부’로 확장한다. <Faceless Structure>(2015), <얼굴 없는 눈>(2015)와 같이 ‘부재’(less/없는)를 내포하는 작품명은 무언가 결핍된 상황 그 자체를 지시한다. 그것은 무엇의 부재인가. 여기서 작가는 ‘얼굴’에 주목한다. 이때, 그가 ‘얼굴’을 가시화하는 방식은 (미지의) 형태의 구축과 해체를 반복하는 수행적인 과정을 통해 보여준다. 앞서 <낮의 유령들>에 공존하던 대상은 사라지고, 여러 레이어들이 서로 간섭하고 겹쳐지면서 얼굴의 형태는 더욱 인식하기 어려워진다. 작가의 복잡한 심경을 반영하듯, 화면 속 일그러진 얼굴은 흡사 ‘괴물’의 형상에 가까워 보인다. 그리고 그림 속 얼굴과 관객의 얼굴이 서로 대면하는 순간, 그림의 경계 없는 레이어들은 그림을 보는 관객의 얼굴 위로 재생된다. 작가에게 있어 두 얼굴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페미니즘의 맥락에서 ‘성적 주체성’은 성적 쾌락과 욕망의 문제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성적 억압의 차이를 드러내면서 그것의 위계 구조에 대해 도전하는 일이다. 무엇보다 오늘날 여성의 몸은 그 이미지, 정체성까지도 자본에 포획되어 여성 스스로가 자신의 몸을 착취하고, 자원화한다는 점에서 더욱 논쟁적이다. 따라서 “여성의 쾌락을 밝히는 것”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관계에서 배제된 다양한 ‘사회적 타자’들에 대한 문제로 나아가지 않을 수 없다. 때문에 작가가 자신의 분신, ‘레이디 엑스’의 섹슈얼리티에 집중하는 것은 ‘외부’로 향하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일 것이다.요컨대, 내적 상처와 분열에 사로잡혀 있던 레이디 엑스가 자신의 관심을 외부로 확장했다는 맥락적 개연성을 타자와의 ‘대면(對面)’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때의 ‘얼굴’이란 무엇인가. 얼굴은 세계와 맞닿는 표면이다. 얼굴은 외부에 현현하는 것으로, “보면서 동시에 보여진다”는 점에서 이중적이다. 먼저 보여지는 응시의 대상으로서 ‘레이디 엑스’의 얼굴은, 화면을 바라보는 관객의 공감을 얻는 순간, 관객을 비추는 ‘거울’이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해, 레이디 엑스가 관객의 응시를 마치 ‘거울처럼’ 반영함으로써, 그 거울 속에서 -‘레이디 엑스’와 겹쳐지는- 관객 자신의 얼굴을 마주하게 된다. 타자의 얼굴에서 오는 힘은 상처받을 가능성, 무저항성에 근거해 있다. 얼굴은 상처받을 수 있고 외부적인 힘에 대해 저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얼굴로부터 도덕적 호소력이 나온다. 4
또한 ‘타인과 마주함’은 자신의 고통과 욕망에만 사로잡혀 있던 ‘레이디 엑스’에게도 의외의 순간을 제공한다. 개인적인 맥락 속에서 자신의 상처를 규명하는 데에 집중했던 작가가, 비로소 타인의 얼굴을 대면한 것이다. 전작들에서 관찰자이자 목격자로서 대상과의 거리를 두었던 작가는, 이번 전시에 이르러 타자와 만나고 외부에 개입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물론 에로스적인 본성을 전제로 타자를 위한 윤리로까지 확장해 나아가는 작가의 바람이 실현될 수 있을지 속단하기는 아직 어렵다. 그럼에도 작가가 구축한 그 복수(複數)의 얼굴은 언젠가 그 스스로 관객의 얼굴에 나타날 ‘순간’을 암시하고 있다.
글: 조은비 (독립큐레이터), 2015
Notes:
- Ref., (Center for Women’s Cultural Theory, 2003, 140p) The book which newly theorizes the psychoanalysis in the feminist context. ↩
- Kang, Young Ann, <The face of the other- Philosophy of Levinas>, Moonji Publishing Co., 2005, 148p. ↩
- 페미니즘의 맥락에서 정신분석학을 새롭게 개념화한 이론서 <페미니즘과 정신분석>(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3, 140p)에서 참조 ↩
- 강영안,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05, 148p. ↩